Home정보2024년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설명

2024년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설명

이번에 알려드릴 정보로 2024년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개인사업자는 1년에 2번 부가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개인사업자를 냈다가 세금 때문에 복잡해서 진짜 머리 아파 죽는줄 알았네요. 사업자가 취득한 이윤에는 세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걸 부가세 납부일에 따로 납부를 해야 하기 때문에 꼭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입니다.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라는것은 물건을 거래할때 발생하는 이윤에 붙는 세금인데요. 한마디로 수수료 같은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10%가 해당 됩니다.

주로 카드로 계산하지 않고 현금으로 하면 10% 할인해준다는 말들을 보았을겁니다. 그게 원래는 불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카드로 하면 소득이 잡히지만 현금으로 팔아서 소득 등록을 해버리지 않으면 정부에서는 책정 할 수 없는 부분을 이용하는 겁니다.

뿐만 아니라 원래 가격이 100만원이라고 했다가 카드로 할께요 이러면 110만원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도 동일합니다.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구분 과세기간 신고 및 납부기간
간이과세자 작년 1.1 ~ 12.31 1.1 ~ 1.25
일반과세자 1.1 ~ 6.30 7.1 ~ 7.25
작년 7.1 ~ 12.31 1.1 ~ 1.25

 

일반과세자는 총 2번 부가가치세를 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일반과세자라고 하면 소득이 꽤나 있으신 분들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부가가치세는 내기 전에 예정고지라는게 존재하는데요. 아마 사업자라면 우편으로 받으셨을 확률이 높습니다. 세금을 한번에 내야 하는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인데요.

예정 고지 금액은 직전 과세기간에 납부한 세액의 50%가 부과 되는데요. 만약 내가 이전 납부했던 세금이 100만원이라고하면 50만원을 예정고지 하게 됩니다.

이렇게 내고 난뒤에는 다음에 세금을 낼때 50만원을 빼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뭐 사실상 내는 돈은 동일합니다. 다만 목돈을 만들기 힘든 분들을 위해서 일종의 할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2024년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절대로 기한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